-
반응형
아주 기본적인, 변수를 선언하고 할당하여 출력까지 해보자.
let name = 'sad'; console.log(name); name = 'happy'; console.log(name);
윗줄부터 직역하면,
변수 name에 sad를 할당했다.
변수 name을 출력해보자.
변수 name에 다시 happy를 할당했다.
변수 name을 출력해보자.
>>sad가 아닌 새로 할당된 happy가 출력된다.
// 이 같은 일이 벌어지는 원리
name이라는 변수를 정의하면
메모리 하나를 차지하는 포인터가 생긴다.
그 안에 'sad'나 'happy'값이 할당된다.
(예를 들어, 어플을 실행하면 어플마다 쓸 수 있는 메모리(텅텅 빈 box들)가 할당되는 것)
*ES6(ECMAScript6)부터 javascript에 변수를 선언할 때는 let만 가능하다.
이전엔 var 사용. 하지만 오류를 갖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.
위에 말한 var과 let을 이용하여 변수를 선언할 때의 차이는
아래 링크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.
https://haeeeell.tistory.com/23
[javascript] 자바스크립트 - hoisting 호이스팅
지난 포스팅에 언급한 var이 갖고 있는 오류는 console.log(age); age = 28; console.log(age); var age; 이처럼 변수를 나중에 선언해도, 콘솔창에 age값이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. 어디에 선언했냐에 상관없..
haeeeell.tistory.com
참고: 드림코딩 by 엘리
반응형'😺 Study > JavaScript, jQue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자바스크립트 - global scope(전역 스코프)와 block scope(블럭 스코프) (0) 2020.11.19 [javascript] 자바스크립트 - hoisting 호이스팅 (0) 2020.11.19 [javascript] 자바스크립트 - 프로그래밍 중요한 3가지 (0) 2020.11.19 [javascript] 자바스크립트 - 오류 줄이기 위해 use strict 사용하기! (0) 2020.11.19 [javascript] <html>에 <script> 위치 (0) 2020.10.24 댓글